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스마트폰 긴급 SOS 기능 설정 방법

by 또치얍 2023. 9. 6.
반응형

 

스마트폰 긴급 SOS 기능 설정 방법

 

나이 드신 부모님이나 건강에 문제 있는 분들에게 유용한 스마트폰 SOS 긴급 설정~ 심정지 등 위급 상황 발생에 대처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SOS 기능을 설정해 놓으면 좋다고 하니 그 방법 자세히 정리해 본다.

 

우선 스마트폰에서 톱니바퀴 모양 설정에 들어가서 <유용한 기능>을 선택해 준다. 그런데 삼성 폰인 내 스마트폰 설정에 들어가니 유용한 기능 화면에는 SOS 설정이 나오지 않더라.

 

스마트폰 기종마다 다르겠지만 위 이미지는 안드로이드(삼성, LG) 폰 위주로 된 설명이며 아이폰 등은 설정 방법이 조금 다를 수 있다고 한다. 

 

유용한 기능 메뉴에는 SOS 메시지 보내기를 클릭~

 

메시지 보내기를 사용함으로 하고 SOS 메시지 받는 사람을 등록해 놓으면 된다. 메시지 받는 사람은 추가를 클릭해서 4명까지 등록이 된다고 하니 등록된 사람에게는 미리 고지하는 것을 추천.

 

긴급 SOS 메시지 보내기에는 오디오 녹음 파일도 첨부할 수 있다고 한다. SOS 메시지를 보낼 때에는 전원 버튼을 빠르게 3회 누르면 등록자에게 위치, 도움 메시지가 전송된다고 하니 부모님이나 건강에 문제 있는 지인분들에게 추천해 주면 좋은 스마트폰 정보인 거 같다.

 

참고로 전원버튼을 3회 누르는 것은 스마트폰마다 조금씩 다르니 본인 스마트폰에 있는 내용을 꼭 숙지해야 할 거 같다.

 

 

스마트폰에 유용한 기능에 없다면?

 

휴대폰마다 설정에 들어가는 메뉴와 이름이 다르다 보니 내 폰에는 유용한 기능 메뉴에는 SOS 메시지 보내기 기능이 없더라. 그래서 자세히 살펴보니 <유용한 기능>이 아닌 <안전 및 긴급> 메뉴가 있었다. 안전 및 긴급 메뉴에는 의료정보와 긴급 연락처, 긴급 SOS, 긴급상황 공유, 지진 알림, 알 수 없는 위치 추적기 알림, 긴급 위치 서비스, 재난문자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들이 나온다.

 

연로하신 부모님들은 복용중인 약과 지병도 있기에 의료정보를 미리 등록해 놓으면 긴급으로 병원에 갔을 경우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하는 걸 방송에서 본 거 같다. 의료정보에는 이름, 건강상태, 알레르기, 복용 중인 약, 혈액형, 주소, 참고사항, 장기 기증 동의자 등을 등록할 수 있었다.

 

그러니 스마트폰에 SOS 메시지 보내기 기능은 꼭 설정해 놓으시길..

 

반응형

댓글